호라이즌 시리즈 성우 애슐리 버치가 유출된 AI 알로이 데모 영건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견을 표명하며, 이 사건을 통해 파업 중인 성우들의 주요 우려 사항을 강조했습니다.
지난주 The Verge는 소니의 내부 동영상으로 호라이즌 주인공 알로이를 내세운 AI 기술을 보도했습니다. 소니는 IGN의 해명 요청에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삭제된 영상에서는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디렉터 샤르윈 라구바르다잘이 합성 음성과 얼굴 애니메이션을 사용해 AI 버전 알로이와 대화하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기본적인 질문에 답하는 디지털 알로이는 버치의 연기와 전혀 닮지 않은 부자연스러운 말투와 기계적인 목소리 톤으로 반응했습니다.
최고의 플레이스테이션 캐릭터 대결
승자 선택
결과 보기개인 결과를 위해 플레이를 완료하거나 커뮤니티 결과를 확인하세요!계속 플레이하기결과 보기
4개의 호라이즌 작품(곧 출시될 레고 호라이즌 어드벤처 포함)에서 알로이 목소리를 연기한 버치는 틱톡을 통해 게릴라 게임즈로부터 이 프로토타입이 실제 개발에 포함되지 않았고 그녀의 연기 데이터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는 확답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발표된 호라이즌 멀티플레이 게임이나 후속작에 AI 알로이가 등장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합니다.
이 배우는 AI가 연기 예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하며, 이 논란을 AI 복제로부터의 보호를 요구하는 SAG-AFTRA 연기노조의 현재 파업과 연결지었습니다. 협상 진전이 있지만 연기노조에 따르면 핵심적인 보호 장치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AI 복제 전 동의, 공정한 보상, AI 사용에 대한 투명성을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라고 버치는 설명했습니다. 그녀는 우려가 기술 발전 자체가 아닌 연기자들을 위한 부적절한 안전 장치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성우는 이러한 보호 조항을 제공하는 임시 계약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스튜디오들이 이를 채택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 싸움은 우리 직업의 미래와 차세대 연기자들을 위한 중요한 문제입니다"라고 그녀는 역설했습니다.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 전반에 걸쳐 대규모 감원이 이어지는 가운데 AI 논쟁은 더욱 격화되고 있습니다. 키워드 스튜디오의 실패한 AI 전용 게임 같은 일부 실험은 한계를 보여주지만, 액티비전을 비롯한 기업들은 생산형 AI 도구 구현을 고수하며 때로는 플레이어들의 반발에 직면하기도 합니다.
성우 파업은 이미 주요 타이틀에 영향을 미쳤으며, 데스티니 2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무언의 NPC가 등장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최근 논란으로는 파업 긴장 속에 리그 오브 레전드 캐릭터 대사 변경과 콜 오브 듀티 역할 재배정 등이 있었습니다.
소니의 아사드 키질바시는 최근 AI 적용을 옹호하며 젊은 관객들이 디지털 캐릭터와의 개인화된 상호작용을 기대한다는 의견을 냈습니다. 이 관점은 통제되지 않은 AI 복제에 대한 연기자들의 우려와 극명한 대조를 이룹니다.